본문 바로가기
우주이야기

외계 생명체의 존재

by 투잡하는 살발이 2023. 4. 17.
반응형

외계 생명체의 존재 

수세기에 걸쳐 인류를 매혹시키는 것은 바로 외계 생명이라는 것이다. 신화와 종교문서, 대중 속에서 다른 존재들의 이야기들이 등장해 왔기 때문이다.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우주 탐사로 인해 우주가 있고 우주 안에 우리가 아닌 다른 생명체가 살고 있을 것이라는 추측이 절박해졌다. 기술의 발전으로 인류가 우주로 갔을 때 그 광활한 우주를 보면서 거기에는 다른 생명체가 존재하는 것이 아닐까 하는 추측에서 이제는 틀림없다고 생각하는 것은 어찌 보면 합리적일 수 있다. 그 합리적인 추정에 따르면 관측 가능한 우주에는 1000억 개 이상의 은하가 있으며, 각각 수천억 개의 별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지구가 이 우주공간에서 생명체가 살아가는 유일한 행성일 가능성은 낮아지고 있다. 더군다나 우주의 탐사로 인하여 과학자들이 태양계 밖에서 생명을 유지할 가능성이 있는 많은 행성을 발견하기도 했다. 이렇게 발견한 태양계와 행성들은 지구와 비슷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물을 갖기 적합한 거리와 대기의 안정적임을 확인했다. 이런 태양계 외행성의 발견은 행성 밖에 생명이 존재할 가능성을 높였다.

 

외계 생명의 존재 증거

사실 아직 우리는 정확하게 외계 생명의 구체적인 증거를 발견한 건 아니다. 하지만 외계 생명체가 있을 수도 있다고 시사하는 많은 단서들이 발견되고 있고 가지고 있다. 그중에서 현재 가장 유력하고 설득력이 있는 증거 중에 하나는 우주에서 유기 분자의 발견이다. 생명을 구성하는 이 분자들은 혜성, 소행성, 다른 행성의 대기에서도 발견되었고 발견이 되고 있다. 우선 외계 행성의 발견은 우리에게 지구가 아니라도 다른 행성에 외계 생명체가 있을 수 있지 않을까 라는 가능성을 증폭시켰다. 그리고 이 행성들 중에 많은 행성들이 표면에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할 수 있는 거주가능 영역에 있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즉 물이 생명체가 살 수 있는 필수적인 것으로 여기고 있기 때문에 외계 생명체가 있다는 의심을 확신으로 만들어주고 있다. 그 외에 유기분자의 발견이다. 이 분자들은 여러 많은 행성에서 발견이 되었다. 그렇다고 유기분자의 존재발견이 반드시 외계 생명체의 존재확신으로 나타낼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외계 생명체가 존재하는데 필요한 조건이 이전 생각보다 더 일반적으로 다가올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이 외계 생명체의 존재 가능성이 높은 것과 그에 관한 문명에 대한 증거가 없거나 접촉하지 않은 것 사이의 모순이 바로 페르미의 역설이다. 이러한 페르미의 역설로 인항 일부에서는 외계 문명이 의도적으로 우리 인류와 접촉을 피하고 있거나 우리 인류가 아직은 그 외계 생명체의 존재를 찾아낼 수 있는 기술이 부족하다는 이야기이다. 또한 다른 흥미로운 증거는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상에서 가장 가혹한 환경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극단적인 생물의 발견이다. 이  생물들은 심해 분출공, 북극 얼음, 핵 폐기물 장소에서도 발견되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지구상의 가장 극단적인 환경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면 다른 우주의 행성에서도 마찬가지로 외계 생명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이런 가능성으로 인하여 외계 생명의 존재가 발견이 되면 우리 인류에게 아주 큰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외계 생명이 존재만으로 우주에서의 우리 위치에 대한 이해와 생각을 바꾸게 되고 재평가하도록 강요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철학적으로 종교적으로 문화적으로 아주 중요한 의미를 가지게 될 것이다. 

 

외계 생명의 존재 가능성은 진행 중

외계 생명체가 존재한다고 해서 우리 인류에게 미치는 영향이 어떤 것 일지는 정확하게 알 수 없다. 정확하게 알려진 외계 새 여체가 없을 뿐 아니라 지능의 수준이나 사회구조 같은 것들을 확실하게 알 수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 대중문화 속에서의 이계 생명체는 자비로운 존재에서부터 지구를 정복하고 파괴하려는 적대적인 외계 생명체까지 다양하게 만들어 내고 있다. 이런 추측과 생각이 반드시 현실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 언어와 문화, 생물학의 차이와 같이 극복해야 할 많은 과제들이 있기 때문이다. 의사소통이 안되고 인류와 다른 가치관을 가지고 있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외계 생명체의 존재가 발견이 된다고 해도 의사소통이나 상호작용의 수준, 그리고 외계 생명체가 인류에게 어떻게 반응을 할지에 대한 많은 요소들에 결과가 달려있다고 생각한다. 우주를 나가고 행성을 발견하고 혹시나 외계 생명체가 있지 않을까 하는 의심이 가는 부분을 많이 발견을 하고 있다. 하지만 정확하고 구체적인 증거는 아직 발견하지 못했다. 그렇다고 외계 생명체가 아직 없다고 단정을 지을 수도 없다. 방대하고 광활한 우주에서 발견된 수많은 외계 행성들을 볼 때 우주에는 지구에 사는 인류 말고 다른 외계 생명체가 존재하는 것이 맞다고 여겨진다. 하지만 다른 시각에서는 외계 생명체의 존재를 찾아내는 것은 현실적으로 더 어려울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그 몇 가지 예로는 외계 생명체가 존재하는데 필요한 조건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더 많이 드물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어서 외계 생명체를 발견할 가능성이 현저하게 낮아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행성과 행성 간의 거리가 너무 천문학적으로 멀기 때문에 우리 지구에 사는 인류는 태양계 너머의 외계 생명체가 사는 행성의 징후를 찾아내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의견도 있다. 우리 인류가 사는 지구와 다른 행성으로 가는 시간이 너무 멀기 때문에 찾아낼 수도 찾을 수도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고 앞으로 우리 인류의 기술이 더욱더 발전을 하게 되면 외계 생명체의 존재에 대한 해답도 나오지 않을까 싶다. 

반응형